노동뉴스

(참고) 취업자수 6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하며 상반기 18.1만명 증가고용률·경활률 6월 및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

  • 관리자1
  • 2025-07-16
  • Hit : 12

 

 

보도시점: 20253 7. 16.(수)

취업자수 6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하며 상반기 18.1만명 증가
고용률 · 경활률 6월 및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

 제조·건설·농림어업 감소세 및 청년 고용 어려움은 지속

 내수 활성화 및 일자리 창출  취약계층 고용 촉진 노력 강화

 

  '25.6월 15세 이상 고용률 63.6%로 전년대비 +0.1%p 상승15~64세 고용률은 70.3%로 전년대비 +0.4%p 상승하였다. 경활률 65.4%로 전년대비 +0.1%p 상승하였으며, 실업률 2.8%로 전년대비 △0.1%p 하락하였다.

 

    * 6월 고용지표(‘24→’25년, %): <고용률> 63.5  63.6 <경활률> 65.3  65.4 <실업률> 2.9→ 2.8

 

  ㅇ 연령별로는 30대(81.0%, +0.8%p) 및 40대(80.2%, +0.8%p)60세 이상(48.1%, +0.7%p)에서 고용률이 상승하였고, 청년층(45.6%, △1.0%p) 및 50대(77.8%, △0.2%p)에서 하락하였다.

 

  ㅇ 15세 이상 경활률·고용률 및 15~64세 고용률 6월 기준 역대 1를 기록했으며1~6월 경활률(64.6%)·고용률(62.6%)·15~64세 고용률(69.6%)도 역대 상반기 기준 1위이다.

 

 2 취업자수는 전년대비 18.3만명 증가하여 6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를 이어갔으며, 1~6월 기준으로도 18.1만명 증가하였다.

 

     취업자 증감(전년비만명): (24.6)9.6 (24.)9.9 (25.1)13.5 (2)13.6 (3)19.3 (4)19.4 (5)24.5 (6)18.3

 

  ㅇ 업종별로는 서비스업(54.9→49.4만명)이 견조한 증가세를 지속하였으나, 보건복지·공공행정·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 증가폭이 축소되었다.

 

   제조업(6.7→△8.3만명)은 내수부진통상 리스크에 따라 감소세가 지속되었고농림어업(13.5⟶△14.1만명)은 강수 등 기상 영향으로 감소폭이 확대되었다.

 

 

  ㅇ 지위별로는 상용직(36.231.8만명)임시직(2.5→5.8만명)이 증가했고 일용직(△5.9→△6.3만명)은 감소하였다.

 

 3 청년 취업자수 감소(15.0→△17.3) 및 고용률 하락(0.7→△1.0%p) 등 청년층 고용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다.

 

  ㅇ 다만청년 쉬었음은 2달 연속 감소하였으며 감소폭도 전월 대비 확대(△0.3→△1.8만)되었다.

 

    * 청년 쉬었음(만명): (24.5)39.8 (6)42.6 (25.1)43.4 (2)50.4 (3)45.5 (4)41.5 (5)39.6 (6)40.8

 

 정부는 내수 활성화  첨단산업 육성 등을 통해 양질의 일자리 창출을 확대하고청년 등 취약계층 고용 안정을 위한 핵심과제를 지속 발굴할 계획이다.

 

  ㅇ 고용상황과 일자리 사업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고, 고용애로 해소를 위해 민간과의 소통도 지속적으로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.

 

   내수 활성화 및 민생 안정을 위한 2차 추경 사업을 신속히 집행하고, 대미 관세협상 및 기업 피해 최소화 등 통상리스크 대응 노력도 지속한다.

 

  ㅇ AI 등 차세대 첨단산업에 대한 집중 육성 및 주력산업 고도화를 통해 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 일자리 창출여력도 확대해 나간다.

 

   또한, 청년 등 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해 인공지능(AI) 등 첨단분야 중심으로 직업훈련·일경험 등 일자리 사업을 확대하는 등 추가과제도 지속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.

 

 

출처: 고용노동부 [보도자료]

댓글

(0)
한마디 등록 폼